저희는 무선 제품이 유선마우스와 동일한 수준의 성능과 응답속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저희는 많은 펌웨어 버전을 테스트해보았습니다.
그 중 하나의 펌웨어 버전이 지금의 XE 무선 고속모드 보다 더 빠른 응답속도를 보여주었으며 비교 테스트에서도 3389 센서또는 3395센서를 탑재한 유선 마우스와의 차이는 느끼지 못했습니다.
저희는 이 펌웨어 버전을 경쟁모드라고 이름 짓었고 경쟁 모드에서의 전력 소모량은 고속 모드와 비슷하며(지속 사용시 약 45~50시간), 일반 모드(지속 사용시 약 90시간)로 다시 변경이 불가 합니다.
이는 경쟁 모드는 더 많은 배터리 소모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Montion Sync On/Off 와 LOD값(Lift - Off 거리) 또한 변경이 불가합니다.
하지만 아래에 있는 버튼으로 DPI, 버튼응답속도 및 폴링레이트와 동글 신호 전환은 계속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저희는 이펌웨어가 상당수의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주고 프로게이머들이 실제로 경쟁 모드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지에는 확실치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저희는 경쟁모드가 실제 경기장에서와 프로게이머들이 요구하는 응답속도에 부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고속 모드와 경쟁모드 펌웨어 모두 프로게이머들에게 제공하여 테스트 해본 결과 절대 다수의 프로게이머 선수들은 경쟁 모드를 선택했으며 더 적합하다고 피드백 했습니다.
경쟁 모드는 불편한 점이 있지만 XE 무선이 있는 분이라면 동일하게 경쟁 모드를 체험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경쟁 모드는 이미 여러번의 수정을 거쳐 배터리 타임이 늘어나게 되었으며 원래의 45시간에서 약 50시간으로 늘어났습니다.
마지막으로, 저희는 여기서 중단하지 않고 더 나은 사용자 환경이 있다면 비 정기적으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해 여러분들에게 공유하겠습니다.
기능 | 공장 출하버전 | 경쟁 모드 |
트래킹 모드 변경 | 3가지 트래킹 모드 (일반、Motion Sync、고속) | 변경 불가 |
LOD 변경 | 높음 낮음 | 낮음 |
전력 소모량 | 일반모드 약 90시간 고속모드 약 45시간 (1000Hz기준 지속 사용시) | 약 50시간 (1000Hz기준 지속 사용시) |
배터리 표시 | 4단계 | 위 표시등 켜짐 (10%이상) |
충전중 표시 | 표시등 순환 | 표시등 켜짐 |
완충 상태 | 표시등 켜짐 | 표시등 꺼짐 |
펑션 키 | 배터리 표시/ PageDown | 배터리 표시 |
마우스 상태 표시 | 사이드 버튼(앞으로 가기, 뒤로가기) + 휠 클릭 | 없음 |
동글간 전환 | O | O |
4단계 DPI변경 | O | O |
4단계 버튼 반응 속도 | O | O |
3단계 Polling Rate | O | O |